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상 신생물(종양)의 분류코드 부여(코딩) 방법

글 : 임용수 변호사


분류코드(분류부호)를 부여할 때는 분류코드 부여 전에 반드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제3권 색인과 제1권 둘 다 참고해야 하며, 제3권에서 찾아낸 코드는 제1권에 가서 반드시 확인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제3권에서 가, 나, 다 순서에 따라 형태학 용어를 찾으면 형태학적 분류코드(M code)가 제시돼 있고 그 아래 세부 항목이 나열돼 있습니다.

어떤 용어들에는 형태학적 분류코드(M code)와 제2장의 신생물 코드가 함께 제시돼 있고,1) 또 어떤 용어들에는 M code만 제시돼 있습니다.2)

제3권 색인표에 나열된 용어 구성을 보면, 맨 왼쪽에 선도어(lead term)가 있고 선도어 아래에 줄을 달리해 하이픈(-)을 긋고 그 선도어의 수식어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신생물의 분류코드 부여 방법

1. 제3권 색인에서 신생물의 조직학적 형태(morphology)를 서술한 용어를 찾아 형태학적 분류코드(M code)를 부여합니다. ​

예를 들어 "목의 지방종(Lipoma, neck)"을 색인에서 찾아보면, 형태학 용어는 지방종(lipoma)입니다. 제3권 색인에서 『지방종(M8850/0) D17.9』를 찾을 수 있습니다.

"지방종(lipoma)" 용어 아래 세부 항목 중에서 진단에 명시된 부위인 「목(피부)(피하) D17.0」을 찾습니다. 이 코드를 제1권에 가서 확인해봅니다. 제1권에서 이 코드가 목의 지방종(D17.0)으로 분류되는 코드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단계에서 코딩을 끝낼 수 있습니다.

앞서 본 "지방종(lipoma)"의 경우에는 제2단계에서 코딩을 끝낼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조직학적 형태(morphology)를 서술한 용어 아래에 부위별로 분류한 세부 항목이 열거돼 있지 않습니다.


현미경 슬라이드

2. 형태학적 분류코드(M code) 중 사선(/) 뒤의 숫자인 행동양식은 색인에 기재된 코드를 근거로 의무기록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해 확정합니다.
3)


【사선(/) 뒤의 행동양식 분류부호】
 /0 양성신생물
 /1 불확실한 또는 알려지지 않은 성격의 신생물
 /2 제자리신생물
 /3 일차성으로 기재 또는 추정된 악성 신생물

 /6 이차성으로 기재 또는 추정된 악성 신생물​

 【예: 결장의 악성 선종(Malignant adenoma of colon)】
제3권 색인에서 "결장의 선종(adenoma of colon)"을 찾아보면, 형태학 용어는 아래와 같이 선종(adenoma)입니다. 제3권 색인에서 『선종(M8140/0) [신생물(Neoplasm), 양성(benign) 참조]』를 찾을 수 있고, 이는 결장(colon)의 양성신생물(D12.6)로 분류됩니다.
cf) "직장의 선종(adenoma of rectum)"은 직장(rectum)의 양성신생물(D12.8)로 분류됩니다.4)

세포검사를 위한 현미경 슬라이드
그러나 행동양식은 보고된 자료(정보)에 따라 그것에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습니다.
M code는 색인에서 찾아 그대로 부여하나, 진단명이 "결장의 악성 선종(Malignant adenoma of colon)"이라고 기록됐을 때는, 그 종양은 결장(colon)의 악성신생물(C18.9)로 분류돼야 합니다.

[제3권 색인]
선종(M8140/0) [신생물, 양성도 포함]
- 간세포 (M8170/0) D13.4
           ·
           ·

- 악성(M8140/3) [신생물(Neoplasm), 악성(malignant) 참조]

현미경에 화학적 액체를 떨어뜨리는 장면




3. 색인에 명시된 신생물의 형태학적 분류코드(M code)에 이어서, 신생물의 부위를 나타내주는 제2장의 분류코드가 있다면 신생물의 형태는 특정 원발부위에 한정됨을 뜻하기 때문에 그 곳에 기재된 원발부위 코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 신모세포종(Nephroblastoma)】
제3권 색인에서 "신모세포종(Nephroblastoma)"을 찾아보면, 『신모세포종 (상피성의) (간엽성) (M8960/3) C64.9』를 찾을 수 있고, 이는 신장(kidney)의 악성신생물(C64)로 분류됩니다.

​[제3권 색인]
신모세포종 (상피성의) (간엽성) (M8960/3) C64.9
- 오른쪽 C64.0

- 왼쪽 C64.1


암 세포

4. 색인에 형태학적 분류코드(M code)는 있으나, 제2장의 '부위코드'가 없으면, 그 곳에 기재된 지시에 따라 선도어 '신생물'로 가서 '행동양식(/0, /1, /2, /3, /6)'에 적합한 신생물 '부위코드'를 찾아서 코딩합니다.

​【예: 유방의 섬유선종(Fibroadenoma of breast)】
예를 들어 "유방의 섬유선종(Fibroadenoma of breast)"을 색인에서 찾아보면, 형태학 용어는 섬유선종(Fibroadenoma)입니다. 제3권 색인에서 『섬유선종 (M9010/0)』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섬유선종 아래 세부 항목 중에서 "유방(breast)"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그 지시어대로 제3권의 신생물 일람표(neoplasm table)에서 찾습니다. 즉 지시된 대로 '명시된 부위(specified site)' 즉 유방(breast)을 찾습니다. 섬유선종(Fibroadenoma)은 양성신생물이므로 신생물 일람표 상에서 확인된 코드 중 D24._를 선택해야 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3권 색인]
섬유선종 (M9010/0)
- 거대(M9016/0)
- 명시된 부위 NEC [신생물(Neoplasm), 양성(benign) 참조]
- 상세불명부위


THE 수준 높고 좋은 글

[보험 전문변호사] 임용수 변호사
  • 최초 등록일: 2017년 3월 7일
  • 1차 수정일: 2019년 4월 30일(재등록)

1) 이것은 신생물의 조직학적 형태가 어떤 특수 부위에서만 발생한다는 "부위특이적 종양(site specific tumor)"의 경우입니다.
2) 신생물의 조직형태(Morphology)가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3) 신경내분비 종양의 행동양식 분류번호는 /3이며,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생하는 카르시노이드 종양(Carcinoid tumor)의 M code는 M8240/3으로 분류됩니다.
4) 직장 폴립(직장 용종) 중 선종성 폴립(선종성 용종, D12.8)을 제외한 직장 폴립은 K62.1로 분류됩니다. 분류코드 K62.1은 선종성 폴립(D12.8)을 제외한 것으로 정상 조직과 거의 비슷한 비신생물성 종양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선종성 폴립은 신생물성 종양(양성신생물)으로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용종이라는 점에서 직장 폴립(K62.1)과는 구분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